말하기 능력 개선 방법
구두, 몸짓, 수화 등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. 현재 의사소통 방법은 이들 중 하나 또는 일부나 전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 다음 제안 목록은 아이와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- 아이가 청취가 어렵지 않더라도 화자를 바라보도록 도와줍니다. 집중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.
- 화자가 문장을 마치기 전에 화자를 중단시키지 않을 것을 아이에게 가르칩니다. 아이는 시작을 이해할 수 없지만, 끝을 알 수 있습니다.
- 아이가 뭔가를 놓쳤을 때 화자에게 알리고, 이해하지 못한 경우 반복을 요청하도록 가르칩니다.
- 대화 상대가 자신이 제공한 정보를 알도록 아이가 직접 들은 것을 요약하도록 가르칩니다.
- 아이가 듣고 있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으면, 이해하지 못한 단어를 단순히 반복하기 보다는 해당 내용을 바꾸어 말해 줍니다.
- 대화 주제(예를 들어, "현재 말하고 있는 사항")를 제시하고 아이거 주제가 바뀌었음을 인지하도록 해 줍니다.
- 아이가 제공된 정보를 계속 이해하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 수업 후 더 피로감을 느낄 수 있음을 알도록 도와줍니다.
- 아이가 유머 감각을 유지하도록 장려합니다.
- 약 1~2m 거리에서 명확하게, 천천히 말하거나 FM 시스템을 사용합니다.
- 입술의 움직임, 표정, 몸짓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아이를 마주보고 선명한 조명 아래 섭니다. "아이가 나를 볼 수 없으면 들을 수 없다는 규칙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.
- 배경 소음을 줄이거나 배경 소음이 있는 곳에서 멀리 이동합니다. 아이가 방향성 마이크와 함께 보청기를 착용한 경우, 배경 소음이 아이 뒤에 오도록 자리를 잡아 아이가 듣고 있는 것이나 화자를 마주 보도록 합니다.
- 과하게 또렷이 말하지 않습니다. 입의 움직임을 과장하면 어음과 얼굴이 왜곡되어 시각적 단서 포착이 더 어려워집니다.
- TV나 영화를 시청할 때 자막이 있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-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말하고 본 것을 설명합니다.
- 아이와 놀고 노래 부르기를 즐깁니다.
- 함께 이야기를 읽고 그림을 설명합니다.
- 아이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아낌 없이 칭찬합니다.
- 무엇보다도, 함께 대화하는 것을 즐겨야 합니다!